
다나와 제품설명( http://prod.danawa.com/info/?pcode=2429639&cate1=224&cate2=49729&cate3=49740&cate4=&keyword=bbc-100e )에서 가져온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SCL은 하이파이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리뷰 기준을 통해 일관성을 추구합니다. 리뷰기준에 관한 사항은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제품의 디테일 사진이 다량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보고 계시다면 데이터 사용량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자부품연구원 차세대음향산업지원센터와 SCL의 측정장비 쉐어링 환경으로 측정되었습니다. ( http://sclibrary.net/notice/34275 )
Measurement by Audio Precision APx585 & B&K 4128C, Etymotic Research recommend DF Compensation, No smoothing
| 전체적인 소리의 느낌과 밸런스
BBC-100E는 전체적으로 저음과 고음이 강조된 V자형 제품입니다. 대역폭이 아주 넓고 평탄한 특성과는 거리가 있지만, 극단적으로 소리가 치우치지 않고 적당한 균형을 이루어냅니다. 양적으로 보면 저음이 약간 많은 편인데, 극저역 쪽으로 치우쳐 있고 고음의 피크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약간 더해지는 무게감에 비해 어두운 느낌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저음과 고음의 균형을 이루어 냅니다.
| 고음의 표현과 해상력
이 제품의 고음 표현은 또렷하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저음의 강조된 양보다 고음의 강조된 양은 조금 적지만 저음이 낮은 저음쪽으로 올라가 있으며, 고음의 피크량도 상당히 되기 때문에 충분히 선명하게 소리를 맺어줍니다. 때문에 저음에 가려져 먹먹하거나 뭉개지는 느낌은 크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보급형 이어폰과 같이 고음역의 대역폭이 아쉽고 5kHz 근처의 피크 위치로 인해서 선명하지만, 맑고 투명한 느낌까지는 아니고 약간 딱딱한 느낌의 표현이 됩니다.
| 저음의 표현과 다이나믹스(Dynamics)
BBC-100E의 저음 재생능력은 충실합니다. 중저음만 크게 부스트 하는 경우 저음의 느낌이 무르고 붕붕거리게 되는데, 이 제품은 아주 낮은 저음을 중심으로 부스트하기 때문에 저음이 깊고 단단합니다. 양적으로는 약간 많아서 음색이 조금 무겁게 하지만, 고음역이 강조되어 있기 때문에 심하게 짖누르는 느낌은 아닙니다. 대역폭도 충분히 나오며 소리가 찌그러지거나 울리는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소리 크기에 대한 표현력(다이나믹스)은 크고 힘찬 소리에서 작고 섬세한 소리의 표현을 나타냅니다. BBC-100E은 대역폭이 조금 아쉽고 밸런스가 V자형 강조이기 때문에 전대역에서 균등하게 소리를 표현하기 보다는, 약간 자극성이 가미된 소리로 적당한 밸런스를 이룹니다. 따라서 역동적이고 힘찬 느낌은 잘 나타나지만, 섬세하고 매끄러운 표현은 조금 무디어집니다.
| 임피던스 특성
BBC-100E의 임피던스 그래프입니다. 500Hz를 기준으로 32옴 정도로 나타나며 커브 값의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임피던스 그래프의 주파수 대역 별 커브값이 크게 나오면 디바이스 기기의 출력 임피던스에 따라 소리의 밸런스가 크게 변하는데, BBC-100E은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사용한 제품답게 큰 영향이 없습니다.
+추가 측정 자료
| Sensitivity
아이리버(iriver) BBC-100E의 감도입니다. 500Hz를 기준으로 1mW를 출력할 때의 음압감도로 97dB로 측정되었습니다. 1mW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 입력 전압은 180.3mVrms입니다. 감도가 좋은 편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THD Ratio
비선형왜곡이라고 할 수 있는 토탈 하모닉스 디스토션(Total Harmonics Distortion)의 비율입니다. 기본적인 구동부의 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경우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사용한 제품에서도 THD 비율이 높게 나올 수 있는데, 이 제품은 그런 면에 있어서 설계가 잘 되어 있습니다. 비선형 왜곡의 관리가 잘 되고 있어서 저가형 제품인 것을 감안하면 유닛의 기본적인 기능이 잘 구동되고 있습니다.
| Level sweep THD Ratio
레벨 스윕에 따른 THD 비율의 변화입니다. 입력된 신호의 레벨에 대비하여 THD 비율의 변화를 보시면 됩니다. 가로축(X축)이 입력 신호 레벨이고 세로축(Y축)이 THD %입니다. 200mV에서 0.1%의 THD 값을 가지며 1V까지의 높은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도 1% 이하로 관리가 된다는 것입니다. 1V는 1000mV로 이 제품의 임피던스인 32옴을 기준으로 31.25mW의 출력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포터블 기기의 최대 출력은 1V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저가형 제품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결과값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Distortion Product Ratio
순서대로 100Hz, 500Hz, 3kHz를 기준으로 10차 까지의 하모닉스 디스토션을 나타내었습니다. 별다른 특이사항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아이리버(iriver) BBC-100E 이어폰을 살펴보았습니다. 번들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이어폰이 활발하게 출시하고 있는 최근의 상황에서 아이리버가 나름대로 보급형 이어폰 대열에 합류한 것이죠. 본격적인 하이파이 기준에 맞는 완전히 플랫하고 넓은 대역폭의 타겟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각자 강조된 저음과 고역의 형태가 적당하게 밸런스를 이루어주고 있어서 안정감이 괜찮게 느껴집니다. 때문에 플랫한 특성이나 고음 대역폭은 다소 부족하지만 낮은 비선형 왜곡 관리와 안정적인 반응성, 그리고 저가의 보급형 이어폰이란 점을 고려해 본다면, 아웃도어에서 편하게 사용하기에 괜찮은 제품이 아닐까 하네요.
제품 가격: 2만원대
*아래의 별점은 제품 특징과 청감결과에 따른 필자의 대략적인 소감이지 절대적인 점수치가 아닙니다.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격대비 잘 관리된 기본 성능, 약간 아쉬운 대역폭, 깔끔한 디자인
Blue Line
오오~ 옆동네에서도 측정되었는데 SCL에서도 보게 되는군요. 밸런스가 좋아 탐이 나네요~ 이왕이면 흰색 혼합이 좋겠지만 아무거나 주셔도 됩니다? ^^;;; ==33333